임대인의 관리부실로 임차인이 피해를 입게 되어,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인정받은 사례

법무법인 고운은 침수로 부상과 재산 피해를 입은 임차인 A를 대리해 임대인 B의 손해배상 책임을 입증하였습니다. 그 결과 조정 절차를 통해 B가 A에게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사건이 원만히 마무리되었습니다.

1.사건개요

. A는 임대인 B의 아파트에 전세 임차인으로 거주하고 있었습니다. 그런데 집안의 수도에 문제가 생겨 침수가 발생하였고, 이로 인해 미끄러져 부상을 입은 한편 집안 가재도구나 가구들이 침수 피해를 입고 말았습니다.

 

. 이에 A는 발생한 피해에 대해 배상을 요구하였는데, B는 자신에게 책임이 없고 A가 다친 것 또한 A의 책임이라며 배상을 거절하였습니다.

 

. A는 적당히 넘어가려 했으나, B의 안하무인 태도에 도저히 참을 수가 없어 소송을 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. 그렇게 A는 법무법인 고운 민사사건전담팀을 찾아 받은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를 문의하였습니다.

2.고운변호사의 조력

. BA가 다치게 된 것은 침수보다 A의 과실이 크고, 침수 하자에 대한 책임 역시 임대인인 자신보다는 관리사무소와 공사업체에 책임이 있다며 자신은 손해배상책임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.

 

. 이에 법무법인 고운은 임차인이 입은 피해를 배상할 책임이 임대목적물의 소유자에게 있다는 취지의 판례 등을 기반으로 재판부에 주장하였습니다. 또한 A의 진료비 내역 및 기타 가재도구 수리비용 등을 통해 정확한 피해금액을 산정하고, 이에 대한 금전적 보상 및 기타 위자료를 합산하여 손해배상액을 책정한 다음 재판부에 제출하였습니다.

3.사건결과

몇 차례 공방을 주고받은 끝에 결국 조정을 통하여 BA에게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.

 

B의 책임이 인정되지 않을 경우 관리사무소나 공사업체에게 책임을 추궁하기 위한 손해배상소송을 다시 준비해야 하는 등 복잡한 과정을 거칠 뻔했으나, 법무법인 고운의 주장을 통해 B의 책임을 입증하고 원만하게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의미가 있는 사건이었습니다.

 

A는 다친 몸과 마음을 금전적으로나마 배상받을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에 만족감을 표했습니다.

궁금한 것은 무엇이든
물어보세요
이름
전화번호
문의내용